강진만이 갈수록 황폐화되고 있지만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강진군도 대책을 세우기 어렵고, 어민들도 망연자실하고 있을 뿐 이렇다할 대책은 말하지 못하고 있다. 패류 고사에 대해 보상이 거론되고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패류에 대한 보상일 뿐이다.

그럼 누가 강진만 개선 대책을 내 놓아야 할까. 이 작업은 한마디로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라는게 수산업계의 설명이다. 강진만을 살리기 위해서는 대대적인 준설작업을 해서 근본적인 환경개선을 해야 하지만 이를 선뜻 거론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일단 어민들의 어업권과 관련돼 있어 분쟁의 소지가 많은데다, 준설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뿌리깊어 이를 감수하고 일을 벌일 주체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강진만에서는 1992년 일종의 준설작업인 강진만어장정리사업을 하다가 강진군과 군청공무원들이 곤욕을 치른 적이 있다. 바다를 준설하면 틀림없이 비리와 연계될 것이라는 선입관들이 남아 있다.

그러나 요즘에는 준설사업이 제도적으로 투명화됐고, 이를 방지할 기술적 장치가 충분해 환경개선과 세수익증가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강진만 관할 관청인 목포지방해운항만청도 쉽게 나설 분위기는 아니다. 해운항만청 입장에서 2005년 당시 어렵게 예산을 가져다 해역복원사업을 진행했는데 요즘와서 다시 보상책임을 지게될 처지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역시 당시 해역복원사업은 강진만에 개울을 낸 수준의 사업이였기 때문에 이런저런 문제들이 발생했지만 강진만을 완전히 긁어내는 준설작업은 성격이 다를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