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가축방역심의회를 개최해 AI(조류인플루엔자) 위기경보 단계를 ‘경계’에서 ‘심각’으로 상향 조정했다.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이 지속되는데다 지역간 수평전파 확인(안성-음성), 야생철새의 도래 확대 및 겨울철 소독여건 악화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됐다.

AI 발생 이후 한 달 만에 가금류 살처분 마리수가 1600만 마리에 달하는 등 최단 시간에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것이다. 발생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육성오리 68, 산란계 56, 종오리 20, 토종닭 7, 산란종계 3, 육용종계 3, 육계 1, 메추리 2, 산란오리 1, 오골계 1 등 162농가가 양성판정을 받았으며, 발생지역은 26개 시군에 이른다.

농식품부가 AI 위기경보 단계를 최고로 상향했지만 안심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심각단계로 상향하면서 고려한 내용 중 겨울철 소독여건이 녹록지 않은데다 야생철새의 이동이 한창 기승을 부리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여기다가 방역프로그램에 의한 소독을 해야 함에도 관행에 의존하는 농가도 있고, 낮은 보상비 문제로 신고를 기피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는 얘기도 심심찮게 들려 위기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AI 예찰에서부터 허점을 보인데다 위기경보 단계 조정 실패 등 농식품부 방역시스템에서도 문제점이 도출된 것도 사실이다. 그러함에도 우선은 AI를 종식시키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심각단계에 맞는 방역프로그램을 철저히 시행하는 것은 물론 농가 이동금지, 소독단계에서의 의무사항 준수 등을 지켜야 한다. 닭과 오리가 폐사하거나 산란율이 떨어지는 등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방역기관에 신고하는 일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가금류 산업이 국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 산업기반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 정부를 비롯해 관련 단체, 농민 등이 힘을 합쳐 AI를 종식시키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런 다음 이번 사태를 계기로 사육농가 관리, 방역시스템 개선, 질병관리 등 축산업 전반에 걸쳐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