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총선의 큰 과제는 앞으로 4년 동안 농촌의 경쟁력을 끌어 올리고 농어업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지금의 어려운 농촌을 살고 싶은 농어촌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사람을 뽑는 일이다.

그만큼 사람을 잘 뽑아야 하는 선거다. 전남에서는 공천과정이 그런 사람을 뽑는 일이여야 하는데 각 당, 특히 민주당이 얼마나 그런 기준을 가지고 있는지 모르겠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대다수 국민들은 평온한 일상을 회복하고 있지만 농어촌은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물가당국의 무책임한 농축수산물 수입정책으로 생계의 위협을 느낀 농업인들이 또다시 거리로 나오고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농어촌 소멸위기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23년 현재 국내 228개 시·군·구 중 소멸고위험지역은 51개소로 22.4%에 달하며, 소멸위험진입단계인 지역도 67개소에 달한다.

이처럼 농어업계를 둘러싼 악재가 산재해 있지만 안타깝게도 농어촌 회생을 위한 시간은 그리 많아 보이지 않는다. 한번 붕괴된 식량공급망 시스템은 다시 되돌리기가 쉽지 않다. 

농축수산업계는 이와 관련 제대로 된 농산물 수급 안정시스템과 농·축산물 가격 안정제도 도입, 소득안정방안, 현실적인 농업재해보상법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이상기후에 대응하고 널뛰기 하는 농축수산물 가격과 불안정한 농가 소득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또 안정적인 인력 수급 대책과 급등하는 생산비 대책, 사료가격 안정방안, 농사용 전기 특례할인 추진 등 다양한 대책에 대한 요구가 쏟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상재화되고 이는 가축질병에 대한 철저한 방역대책과 근복적인 해결방안도 필요하다.

농어촌의 소멸은 농어촌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잃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안정적인 식량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은 물론 국민 모두가 향유해야 할 농업의 다원적 가치가 훼손되는 일이다. 이번 총선, 특히 민주당의 공천과정이 농어촌에 새로운 희망의 싹을 틔우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