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농업 소득은 농가당 948만 5000원 이었다. 10년 만에 농업 소득 1000만원대가 무너진 것이다. 반면 농가 부채는 2002년 1989만원에서 2022년 3502만원으로 약 1.7배 늘었다고 한다.

통계청 자료라는게 항상 1년씩은 뒤늦게 발표되기 때문에 조금 오래된 감은 있지만 이 자료가 가장 최근의 농촌상황을 말해주고 있다.

농가 부채가 10년만에 1.7배가 늘었다는 것은 심각한 일이다. 예전에는 농가부채 있는 것을 대 놓고 하소연이라도 했지만 요즘은 그런 분위기도 아니다. 농민들이 안으로 삭히고 있어서 조용한 모습이다. 

지금 농가들은 ‘빚 내서 빚을 갚는 악순환’을 겪고 있다고 한다. 농가 소득에 비해 농가가 갚아야 하는 이자와 원금은 더 많아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농지를 담보로 한 대출은 늘고 있다.

농가의 빚이 한계점에 달했다. 담보로 대출을 받는 농지가 경매로 넘어가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지금 농촌은 황폐화를 넘어 피폐화됐고, 덩달아 농가도 부채에 허덕이며 피폐화된 상태다.

농지가 경매로 넘어간다는 것은 농민이 낸 은행 빚 원금은 고사하고, 이자 마저 갚을 능력이 없을 정도로 삶이 어렵다는 뜻이다. 지금 농가는 구조적으로 담보농지가 경매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

소득은 적은데 빚은 더 많아졌고, 금리도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런 와중에 고물가·고환율로 농자재와 사료값 등도 크게 올라, 생산 비용이 크게 늘었다. 반면 농작물 가격은 그대로다. 인건비는 고사하고, 생산비 마저 건지기도 힘든 상태다.

그러니 빚 내서 빚을 갚을 수밖에 없는 게 농민들이 처한 현실이다. 농가소득이 줄면서 빚을 갚지 못해 농지를 경매로 넘기는 사례가 늘고 있다.

농민들의 삶의 터전인 소중한 농지가 상실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그래야 농촌이 산다. 농가 부채를 이대로 두면 안된다.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