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펴낸 ‘지방소멸위험 지역의 최근 현황과 특징’ 보고서를 보면 올해 2월 기준 전국 228개 시·군·구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은 118곳(52%)이나 된다. 이는 지난해 3월보다 5곳이 증가한 것으로 지방자치단체 2곳 가운데 1곳은 소멸위험에 직면했다는 얘기다. 

소멸위험지역은 20∼39세 가임기 여성인구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값인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인 곳을 말한다. 올해 새로 포함된 경북 포항시, 대구 남구 등 5곳은 인구 50만의 산업도시와 대도시 도심지역이어서 인구감소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잘 보여준다.

상황이 이러니 이농·고령화·저출산이 심화하고 있는 농촌지역 지자체는 말해 무엇하겠는가. 농촌의 소멸고위험지역은 모두 51곳(22%)이 됐다. 농촌소멸은 시간문제다. 마땅한 일자리가 없으니 젊은 사람들이 도시로 떠날 수밖에 없다. 

농촌에 남아 땀 흘려 농사를 지어보지만 먹고살기 빠듯하다. 몸이 아프면 제때, 제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병의원도 마땅찮다. 공중보건의가 줄면서 이제는 보건소마저 비어가고 있다. 버스도 하루에 고작 한두번 오고 가니 나들이 한번 하려면 큰맘을 먹어야 한다. 

비록 도시만큼은 아니더라도 농촌에서 생활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도록 정부는 기본적인 사회기반시설 확충에 힘을 쏟아야 한다. 또 양질의 일자리 제공과 농가소득 안정장치 마련도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