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우리나라의 초고령사회 진입 시기를 2026년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체 인구 다섯 중 한 명은 65세 이상인 노인 시대의 도래다. 

사회는 이처럼 급속도로 늙어 가는 데 반해 노인을 위한 정책은 굼뜬 데다 일차원적이다. 초고령사회는 일찍이 예견됐지만 사회는 노인을 획일적으로 취급한다. 노인은 그저 노인일 뿐이라는 편견은 단편적으로 각종 여론조사에서 잘 드러난다.

대부분은 연령 구분을 60세 이상으로 싸잡아 10대∼50대와 대별하는 식이다. 엄연히 살아온 시절이 다르고 생각이 다를 텐데도 세분화에 인색하다.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날이 곧이요, 격동 세대의 상징인 ‘386’ 중 맏이가 내일모레면 생물학적 개념의 노인이다.

이 같은 인식이 노인 문제 접근 방식에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평균 수명이 길어지며 노인 간에도 세대 차이가 발생하고 빈부 격차에 따른 계급이 형성되는 등 복잡다단한 구조인데 사회는 노인이라는 천편일률적인 프레임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사회가 어루만져야 할 노인 복지의 근간은 빈곤과 고독임엔 틀림없다. 다만 각양각색의 노인이 쏟아지는데 시선이 한 곳에만 고정돼 있으면 곤란하다. 노인정책에도 다각화와 다변화가 필요하다. 누구나 노인이 되고 그 노인 인구가 점차 늘어나는 피치 못할 시대에 대비하지 않으면 노인 문제는 큰 부담으로 부메랑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