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수/ 광주전남지역 혁신플랫폼 총괄운영센터장

광주와 전남에는 크고 작은 40개의 대학이 있다. 이를 보고 시도민들은 “우리 지역에 웬 대학이 그렇게 많지?” 하면서 깜짝 놀랄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대학 이름을 보면 생소한 대학들이 더러 있기 때문이다.

비록 큰 대학교의 단과대학에도 미치지 않은 소규모 대학교들은 작지만 강한 대학을 표방하면서 본연의 사명을 다하느라 애쓰고 있다.

그런데 말이다. 지역발전의 견인차로서 인재를 키워내는 대학들의 현실을 보면 나날이 힘들어져 가고 있기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정성을 다해 애써 키운 인재들이 지역을 등지고 수도권으로 자꾸 올라가는 바람에 안타깝고, 이들의 역외 유출이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기에 더더욱 고민스럽다. 

얼마전 보도를 보고 아셨겠지만, 올해 우리 고장의 대학들은 무려 3천 명 가까운 정원부족 사태를 겪으면서 전전긍긍해 하고 있다.

문제는 올해로 끝나지 않고 내년은 더욱 사태가 심각해진다는 데 있다. 대학가의 정원미달이 쓰나미처럼 밀려올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어찌하면 좋은가. 참으로 답답하기 그지없다.

그런데 지난 2월초, 윤대통령은 경북 구미 금오공대에서 ‘지역을 살리는 인재, 인재로 성장하는 대한민국’ 이라는 주제로 인재양성전략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이날 회의에서 특기할 만한 사실은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지역대학에 투자할 수 있도록 대학지원권한을 확대하고 교육부의 대학재정 지원 사업을 통합, 2025년부터서는 예산의 50% 이상을 지역주도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른바 화제의 라이즈(RISE) 사업이다.

이는 중앙정부가 대학에 직접 지원하던 2조원 이상의 대학 지원 사업을 광역시도가 계획을 수립해 중앙부처와 협약을 맺고, 이에 근거하여 지역대학을 지원하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정부에서 지방으로 지원 사업을 대폭 이양함으로써 지역 스스로 경쟁력을 키워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보겠다는 큰 프로젝트인 셈이다.

며칠 전 교육부는 응모했던 지자체 가운데 7개 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선정, 본격적인 시동을 걸기 시작하였다. 우리 고장은 전남만 뽑히면서 한발 먼저 준비에 들어가게 되었고, 광주는 아쉽게도 선정되지 못하여 사업 추진에 엇박자가 났다.

이제 지자체들과 대학들은 충분한 준비를 할 겨를도 없이 라이즈 사업을 떠맡게 되니 사정이 결코 녹록치만은 않다. 시정도 도정도 한 짐인데 대학업무까지 안고 가야 하는 지자체로서는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지역의 여러 대학들도 예외는 아니어서 어렵기는 매한가지다. 대학은 오랫동안 교육부에 길들여진 탓에 지자체와의 협업이 쉽지만은 않다. 게다가 4년마다 치러지는 지자체장 선거바람에 자칫 지역대학들까지 흔들리면서 본연의 대학기능을 잃어버릴 수 있어 걱정된다. 

앞으로 이처럼 어려운 여건에서 함께 살아가려면 이제부터서라도 지자체와 대학은 보다 부지런히 머리를 맞대며 해법을 찾는 일이 급선무라고 생각한다.
그 어느 때 보다 광주전남지자체와 지역대학들이 발벗고 나서야 하는 중차대한 시점이 바로 지금 아니겠는가.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