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들어 날아온 난방비 고지서에 온 나라가 시끄럽다. 대통령실까지 급히 나서서 취약계층 에너지바우처 지원금을 늘리고 사회적 배려 대상자의 가스요금 할인을 확대하는 긴급 처방을 내놨다.

하지만 이번 대책에 또 농촌에 대한 배려는 부족해 이런저런 상대적 박탈감에 젖은 농심이 더 싸늘해졌다. 정부가 발표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지원 대상 160만명에 농촌 주민도 물론 포함돼 있기는 하다.

문제는 에너지바우처 적용 대상 연료에 화목보일러용 장작과 목재 펠릿은 포함되지 않고, 주요 적용 대상인 도시가스도 농촌에는 13.7%(2020년 기준)밖에 보급돼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렇다보니 정부가 내놓은 난방비 대책이 농민들에게는 남의 집 떡이 된 것이다.

농촌에도 등유보일러 점유율이 가장 높기는 하나 화목보일러나 화목·등유 겸용 보일러를 사용하는 농가도 적지 않으며, 기름보다는 장작이 싸기에 화목보일러로 교체하는 비율이 점점 늘었다.

도시가스 요금보다는 훨씬 비싸지만 그래도 도시가스망이 깔리지 않은 농촌에서 난방비를 아낄 수 있는 설비로 이만한 게 없기에 많은 농가가 화목보일러를 선호한다. 이런 상황에서 가스망이 보급되지 않은 것 자체도 일종의 차별인데 엎친데 덮쳐 난방비 지원에서조차 소외되니 농민들 불만이 커지지 않을 수 없다.

농심도 민심이다. 도시에선 올해 난방비 폭탄을 맞았다지만 농촌에선 매년 동절기마다 보일러 끄고 마을회관에서 지내는 게 일상이 된 지 오래다. 형평성 차원에서라도 에너지바우처 사업 적용 대상에 화목보일러는 마땅히 포함돼야 할 것이다.

아울러 농촌지역의 도시가스망 보급도 더 속도를 내야 할 것이다. 농촌에 산다는 이유만으로 차별당하고 불편을 감내해야 하는 것은 가벼이 볼 일이 아니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