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은 ‘제1회 여성농업인의 날’이었다. 지난해까지는 ‘세계 여성농업인의 날’로 운영되다 올해 처음 법정기념일이 됐다. 의미 있는 기념일까지 제정됐지만 너무나 조용히 지나갔다.

여성농가 인구가 남성을 앞지른 것은 이미 오래라고 한다. 2021년 기준 전체 농가 221만5000명 가운데 여성은 111만5000명으로 50.3%를 차지한다.

농업경영체로 등록한 농업인은 올 9월 기준 모두 255만9000명인데 이 가운데 여성은 공동경영주를 포함해 117만3000명으로 45.8%나 된다.

단독경영주로 등록한 여성도 53만8000명으로 전체(181만3000명)의 29.7%다. 여성농민은 단순히 남성의 보조자가 아니라는 얘기다.

그런데도 여성농민은 주요 정책에서 소외되며 각종 여건 또한 열악하다. 우선 여성농민은 농업경영체 자격에서 박탈당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영농에 종사하며 겸업을 하다보니 4대 보험에 가입해야 해서 농업경영주의 가족원인 농업종사자(공동경영주 포함)로 등록할 수 없어서다. 반면 농업경영주는 겸업을 해도 농업인 지위를 유지할 수 있다.

보육 여건도 여성농민들을 힘들게 한다. 일을 해야 하는데 가까운 곳에 아이를 맡길 곳이 없기 때문이다. 2021년 기준 어린이집이 없는 읍·면은 전국 500곳으로 전체 읍·면의 35.5%에 달하는 실정이다.

여기에 일손부족 심화로 여성농민들의 노동 강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실제 여성들은 힘이 많이 드는 밭작업을 주로 하다보니 몸이 여기저기 아프지 않은 곳이 없다.

이에 정부는 올해 9개 시·도, 11개 시·군에서 여성농업인 특수건강검진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해 좋은 반응을 얻었지만 내년도 예산안은 올해와 동일한 수준으로 편성돼 여성농민을 실망시키고 있다.

아울러 농기계를 다루다 다치는 여성농민들이 늘고 있지만 여성친화형 농기계 개발도 속도가 나지 않고 있어 답답하다.

여성농민들이 없는 우리 농업·농촌 미래는 상상할 수도 없다. 여성농민들이 자긍심을 갖고 당당한 농업경영 주체로 자리매김해갈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