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거의 모든 곡물 가격이 급등한 가운데 유독 쌀값이 폭락하는 기현상이 벌어지면서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올해도 추석을 앞두고 들판은 풍년인데 쌀과 관련한 모든 산업 종사자들이 한숨을 쉬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에 대책을 요구하며 다 자란 들판의 벼를 갈아엎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쌀을 수매한 농협은 재고가 넘치면서 보관할 공간을 구하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보관 비용 급등에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보관한 쌀을 풀면 보관비용을 줄일 수 있지만 쌀값은 더욱 하락하게 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태다. 결국 농민들을 위해 쌀을 보관해야 하는 현실인 것이다.

이런 사태가 벌어지기 전에 쌀값을 안정시켜야 할 농정당국이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는 것은 이해하기 힘든 일이다.

한국인의 식습관 변화 탓으로만 원인을 돌리는 것은 너무나 무책임한 처사다. 우리 국민의 쌀 소비량이 급감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20년 전에 비해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35% 이상 급감했다.

육류나 밀가루 소비가 급증하면서 쌀 소비가 현저히 줄어든 것이다. 공급량은 많고 소비량은 줄다 보니 80kg당 가격이 지난해에 비해 약 5만 원 가까이 급락했다. 치솟은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농민들의 수입은 그 이상 감소한 셈이다. 게다가 올해 수확한 쌀이 풀리면 쌀 가격은 더 떨어질 것이다.

결국 주먹구구식 쌀 행정이 도마 위에 오를 수밖에 없다. 정부의 직불금 제도나 쌀 수급 정책 개선을 요구하는 농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쌀 소비량이 줄어드는 현실에서 큰 틀의 농업의 변화가 필요한 상황인 된 것이다.

농사 품목의 다양성을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고 특히 99% 수입에 의존하는 밀농사 활성화가 필요해 보인다. 밀 값 급등으로 관련 식품과 음식 가격이 올라 물가 상승에도 영향을 미친 점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풍년을 고민하는 아이러니 속에 1년 농사를 망치는 일이 없도록 초과 공급물량을 결정해 신속하게 격리시켜 쌀값을 안정시키는 적극적인 수급정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