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에 폭우가 쏟아졌다. 남부지방은 폭염인데 수도권과 중부지방에 호우가 쏟아졌고, 서울 안에서도 강남과 강북의 강수량 차이가 매우 컸다. 통상 2차 장마는 8월 말~9월 초 발생하는데 한 달 가까이 빨라진 셈이다.

이번처럼 국지적으로 나타나는 극단적 강수, 장마기간 변동, 강수 일수 증가 등은 기후변화와 별개로 생각할 수 없다. 환경 변화에 걸맞은 새로운 수해 예보 시스템 구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숙제라는 점이 이번 사태로 명확해졌다.

기후변화가 가속화하면서 앞으로 국지적 집중호우와 같은 기후재난이 더 잦아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 기후 전문가 네트워크인 ‘세계기후특성’(WWA)은 지난해 여름 200년 만의 폭우가 서유럽을 할퀴고 지나간 직후, 기후변화가 홍수 가능성을 최대 9배까지 높였다고 분석한 바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세계는 폭염, 가뭄, 폭우 등 온갖 기후재난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기후재난이 우리만 피해갈 리도 만무하다.

올해 유럽은 폭염, 미국은 폭우에 시달리는 등 이상기후가 일상화된다는 징후가 뚜렷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일 수는 없을 것이다. 이상기후에 대응하는 방재시설 개선, 취약계층 보호와 함께 근본적으로 기후 변화를 늦추기 위한 사회 전반의 노력도 병행돼야 할 것이다.

기상 전문가들은 기후위기 때문에 이런 비정상적 상황이 언제든지 벌어지고, 피해가 더 커질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전망한다. 따라서 하늘을 탓할 게 아니라 정부의 자연 재난 대비 시스템을 이런 극단적 기상을 전제로 재설계해야 한다.

자연 재난을 완벽하게 막기란 말처럼 쉽지 않다. 안전 부문의 선제적 투자가 그나마 현실적 대책이다.

그런데 소득 양극화 심화에 따라 복지 예산 지출이 단기간에 급팽창하면서 안전 부문 투자가 소홀히 취급되는 현실은 우려스럽다. 특히 선심성 예산 지출을 늘리면서 안전 부문에 대한 예산 배정을 기피하는 행태는 시급히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