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경관을 해치는 주범 가운데 하나를 꼽으라면 빈집을 빼놓을 수 없다. 강진원 차기 군수가 최근 군청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폐가를 이용해 푸소를 추진해보자는 의견을 내놓아 관심을 끌고 있다.

농촌 빈집을 효율적으로 정비·관리·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확한 통계가 기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조사기관에 따라 통계치가 서로 달라 올바른 정책 수립과 시행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우선 농림축산식품부 조사에 의하면 2019년 농촌 빈집은 5만5750동이다. 반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한국전력공사의 ‘전력데이터 개방포털시스템’을 이용해 최근 12개월 이상 매월 전력사용량이 10㎾h 이하인 주택을 분석해보니 2019년 기준 농촌 빈집은 26만524동이었다. 무려 5배가량 차이가 난다.

농식품부는 농촌 빈집을 1년 이상 아무도 거주하지 않거나 사용하지 않는 농촌주택 또는 건축물로 정의하다보니 조사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기 쉬운 구조라는 지적이다. 반대로 도시 빈집은 최저 전력사용량과 최저 상수도사용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정확도가 높다고 한다.

또 다른 조사 결과는 더욱 큰 차이를 보여준다. 통계청 2019년 조사에서 농촌(읍·면부) 빈집은 무려 56만149동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시점에서 비어 있는 집을 모두 포함한 결과다.

농촌 빈집 규모가 어느 정도 되는지 정확하게 파악하는 게 최우선이다. 조사 기관·방식에 따라 결과가 천양지차라면 제대로 된 통계라고 할 수 없다. 들쑥날쑥한 통계자료로는 효율적이지 못하고 체계적인 정책을 추진할 수 없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