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준/ 강진군 농어촌개발과

최근 전국적으로 빈집 문제가 크게 이슈화되고 있다. 방치된 빈집 문제는 이전부터도 조금씩 사례가 나오고 있었지만, 그동안 쌓여 왔던 문제가 점차 눈에 띄게 커져서 더 이상 두고 볼 수만은 없게 된 것이다.

이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대비책을 마련하여 대응하려고 하고 있지만 인구절벽 문제와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과 같이 고질적인 문제가 얽혀 있어서, 명쾌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방치된 빈집은 여러 가지 문제를 초래하는데. 첫 번째로 지자체 곳곳에 위치하여 마을 경관을 해친다. 경관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여 마을 담벼락을 화려한 벽화로 단장하고 공터를 화단으로 잘 꾸며내도, 중간에 방치되어 유리창이 깨지고 칠이 벗겨지고 잡초와 덤불이 무성한 빈집 한 채는 아름다운 마을 분위기를 잠식시킨다.

두 번째 문제는 정기적으로 관리되지 않는 빈집이 우범지역의 온상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처리 비용을 아끼기 위해 생활쓰레기나 건축폐기물 등을 빈집에 몰래 투기하여 빈집이 쓰레기장이 되어 문제가 된 이야기가 심심찮게 들리고 있다.

마지막으로 노후화가 상당히 진행된 빈집은 붕괴돼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를 초래할 수도 있다. 아직까지 크게 알려진 적은 없지만, 사람이 상주하지 않아서 관리되지 않는 집들은 노후화가 가속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앞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최근 강진군에서는 빈집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하여 작천면에 '작은학교 살리기'를 위한 목적으로 빈집을 손보고 있다. 시골집에서 쓸만하고 깨끗한 집에 도시민의 정서를 고려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결정적으로 필요한 것은 집 소유주의 애향심과 마을주민과 직원들의 적극적인 협조였다.

각 읍면 직원들의 협조를 얻어 여러 마을들을 돌아다니며 빈집을 둘러보고 집주인과 이야기도 나누어 보곤 했지만, 리모델링을 통해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빈집은 소수였다.

집이 관리가 안돼서 개조가 아니라 철거 후 다시 지어야 할 정도로 노후화가 진행된 집들이 대다수였고,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남은 집에 상주하거나 주마다 하루, 이틀씩 방문하여 관리하는 집도 있었다. 그리고 활용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연락이 안되거나 리모델링 추진 의사가 없어 방치되는 집도 있었다.

지금 대한민국이 인구 소멸과 빈집 문제에 당면한 상황에서, 빈집은 이제는 단순하게 골칫거리로만 볼 것이 아니라 자원이라고 생각하고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빈집 소유주들의 리모델링 사용허가와 의지가 절실히 필요하다.

사랑하는 고향의 번영과 발전을 위해 시골에 두고 있는 집을 사용할 수 있도록 모두가 자신의 일처럼 적극적으로 나서면 어떨까?

혹시 주변에 사람들이 자주 오지 않고 홀로 남겨져 있는 집이 있다면 집주인에게 연락하여 빈집이 다시 살아날 수 있도록 권유해 보도록 하자.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