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21년 농어촌서비스 기준 달성 정도 점검 결과’를 보면 여전히 낙제점을 벗어나지 못한 분야들이 적지 않다.

농촌에서 살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농사지어 안정적으로 먹고살 수 있어야 함이다. 하지만 이것만큼 중대한 것이 있다. 생활에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설령 도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하더라도 가고자 하는 곳까지 이동이 쉽고 병원과 아이들을 교육할 시설이 너무 멀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심각한 것은 정주여건이다. 상하수도·대중교통·생활폐기물·경찰순찰·소방출동 항목은 정부가 설정해놓은 목표치에 미달했다.

특히 대중교통은 전국 법정리 1만5053곳 가운데 12.7%에선 하루 2대 이하만 운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촌주민들 발이 묶여 있는 셈이다.

청년층 이농의 주원인 가운데 하나인 영유아 보육·교육 항목은 여건이 되레 악화했다.

농어촌 어린이집과 유치원수가 2020년 5850곳에서 지난해 5768곳으로 줄면서 집에서 어린이집과 유치원까지 차(시속 32.2㎞)로 걸리는 시간이 5.8분에서 9분으로 늘었다.

이래서야 어찌 농촌에 남아 있는 사람들을 떠나지 못하도록 붙잡고, 외지인들을 불러들일 수 있겠는가. 농어촌서비스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할 시점이다.

마침 새로 출범한 윤석열정부의 국정과제 세부 실천과제에 ‘농촌에 특화한 의료·돌봄 인프라 확충’과 ‘농촌 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 등이 포함돼 있어 다행스럽다.

새 정부가 ‘살고 싶은 농산어촌을 만들겠다’고 약속한 만큼 정권 초기부터 관련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