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1년 농가 및 어가 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 평균소득은 4776만원으로 전년(4503만원)에 견줘 6.1% 늘었다.

농업 경영 활동을 통해 얻은 농업소득이 9.7%,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영향으로 겸업소득은 11.7% 증가했다. 코로나19 재난지원금 등 보조금이 늘면서 이전소득도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같은 농가소득 통계가 지금 우리 농촌의 현실을 온전히 반영한다고 보기 어려워서다. 통계청 조사 결과의 큰 문제점은 ‘1인농가’의 소득을 포함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 농촌에서 1인농가는 20%에 달한다.

이들 대부분은 혼자서만 생활하는 어르신이거나 형편이 어려운 소외계층이어서 농사짓기가 힘든 것은 물론이고 소득 또한 적을 것이라는 걸 굳이 따져보지 않아도 알 수 있다. 실제 1인가구를 포함해 농가소득을 다시 계산하면 2018년과 2019년의 경우 800만원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진다.

통계청은 농가소득을 조사할 때 전국 3000농가를 표본으로 삼는데 2013년부터는 1인가구도 100농가를 새로 포함시켰다. 즉 가구원 2인 이상인 2900농가와 1인 단독가구 100농가를 대상으로 조사한다.

하지만 정작 농가소득을 계산할 때는 1인가구 소득은 제외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이전 통계 결과와의 비교 가능성이 떨어져 1인가구 소득은 포함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물론 통계조사의 기본 원칙이나 표본을 자주 바꾸는 것은 옳지 않다. 그렇지만 예전에는 거의 없었던 1인가구가 이제는 무려 다섯가구 가운데 한가구가 될 정도로 농촌사회가 급변했다.

현실에 맞게 농가소득 통계 기준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계는 정부의 정책수립과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현실과 동떨어진 통계는 서둘러 바로잡아야 한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