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1 농림어업조사’ 결과 지난해 12월1일 기준 농가수는 103만1000가구로 전년에 비해 4000가구가 줄었다. 농가인구수는 221만5000명으로 9만9000명이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인구 대비 농가인구 비율은 4.3%에 불과하다. 이뿐 아니다. 고령화도 심각하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46.8%에 달한다. 전년보다 4.5%포인트나 증가했다.

이는 1986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우리나라 전체 고령인구 비율(17.1%)의 3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70세 이상은 72만명으로 전체 농가인구의 32.5%를 차지해 3명 가운데 1명이 70세 이상인 셈이다.

농촌소멸·지방소멸이라는 낯선 용어가 어느새 익숙해졌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전국 89개 시·군·구를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한 바 있다. 이 가운데 고령화와 공동화로 소멸위기에 맞닥뜨린 군 단위 지역이 69곳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같은 상황이 더이상 이어져서는 안된다. 남아 있는 사람은 떠나지 못하도록 붙잡고 외부 사람은 새로 끌어들이는 정부 차원의 대책이 시급하다. 우선 고령의 어르신들은 농사를 접고 은퇴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사회안전망을 촘촘히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젊은이들이 농업·농촌에서 안정적인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 여기에 더해 자녀교육이나 병원 치료 등 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사회간접시설 확충도 절실하다.

특히 청년들이 농촌을 찾을 수 있게 농지 마련을 비롯한 자금 지원 확대에도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우리 국민들이 먹을 식량을 생산할 농민과 농업·농촌이 없다면 국가도 존재할 수 없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