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선거가 다가오면서 정치권의 움직임이 부산하다. 야권후보 단일화가 가장 큰 관심거리인 가운데 단일화가 불발될 경우 정치권이 어떻게 요동칠지 이목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의 야권이 집권을 하든 집권에 실패하든 어떤 형태로든 정계개편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 와중에서 광주· 전남 국회의원들은 어떤 판단을 해야할 지 상당한 혼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후보인 문재인 후보나 무소속 안철수 후보나 광주· 전남에서 막상막하의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 전남 국회의원들은 이런 상황에서 지난 2003년 12월 정계개편 상황을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당시 정치권은 민주당이 분당돼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으로 재편됐다. 재야운동세력이 뭉친 열린우리당은 정치혁신을 부르짖었다.

열린우리당 바람이 세차게 불었다. 2004년 4월 열린 17대 총선에서 전통 민주당은 호남에서 5석을 얻는데 그쳤지만 열린우리당은 18석을 얻었다. 거의 싹슬이였다. 민주당은 몰락했다. 전국적으로도 열린우리당은 152석을 얻은 반면 민주당은 비례대표까지해서 총 7석을 얻은데  그쳤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으로 들어간 광주· 전남 국회의원들은 맥을 못추었다. 지역간 불균형은 경제적인 부분에만 국한된게 아니였다. 재야운동세력 또한 수도권과 영남권 출신 사람들이 주류였다. 열린우리당의 주도권은 수도권과 영남권에서 가지고 있었다.

광주· 전남지역은 정치력을 크게 상실했다. 각종 개발논리에서도 밀렸다. 17대 국회는 광주· 전남의 목소리가 가장 낮게 반영된 국회로 평가됐다. 광주·전남출신 열린우리당 국회의원들은 정치개혁이라는 명분을 확보했지만 지역발전이라는 실리는 찾지 못했다. 

17대 국회 상황을 통해 광주·전남 국회의원들이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은 시종일관 지역발전이라는 틀속에서 실속있는 판단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개혁이니 정치혁신이니 하는 말들이 결국 누구쪽에 유리한 것인지 잘 생각해서 말과 행동을 해야 한다. 광주·전남 국회의원들이 감각적인 말과 행동에 의존하고 그러한 방법으로 자신의 위상을 찾는데 주력한다면 그게 과연 누구에게 득이 될 것인지도 따져 봐야 할 일이다. 기득세력과 보수언론들에게 그런 사람은 밥이다.

광주·전남, 특히 전남은 다른 지역에 비해 발전이 크게 소외된 지역이다. 수도권과 영남지역을 따라가려면 멀어도 한참 멀다. 이 상황을 조금이라도 회복하려면 국회의원들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전남지역 국회의원들은 지역낙후를 해소해 나갈 실리를 생각해야 한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