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론은 주장의 근거를 제시하고 증명해가는 과정이다

초중고에 도입키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정책에 대해 다루면서 교사를 확보하지 않는 점을 부각시키는 사설이다.

그러나 이 사설의 서론은 정부의 소프트웨어 교육정책의 단계별내용을 초중고별로 개략적으로 소개하는 것으로 끝냈다. 무엇을 문제삼고 싶어하는지 서론만으로는 짐작할 수 없다. 제목에서 문제를 제기했으므로 서론에서는 정책에 대한 사실 개요만 밝힌 것으로 여겨진다. 이처럼 서론에서 주장의 근거가 되는 사실만을 요약하는 형식이 흔하다. 하지만 요약된 사실의 뒤부분에 문제를 제기하거나 쟁점을 부각시키는 게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데 더 효과적일 것이다.

<보기3>
개학에 들어간 중고교 곳곳에서 급식을 먹은 학생과 교직원 700여명이 식중독에 걸려 병원 신세를 졌다. 이 9개 중고교 급식소에서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이 검출됐다고 식품의약품 안전처가 어제 밝혔다.-사건 요약

<보기4>논점 제시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로 기정사실화된 ‘광복절 특사’가 만만찮은 논란을 부르고 있다. 사면, 복권 대상에 기업인과 정치인 여럿이 포함되리란 관측을 둘러싼 논란이 무성하고, 박 대통령이 취임 이래 지켜온 ‘정치인ㆍ기업인 배제’ 원칙이 무너지리라는 전망에 대한 찬반 논의도 잇따르고 있다.

정치인과 기업인에 대한 사면을 꺼려오던 박근혜대통령이 갑자기 광복 70주년을 맞아 사면 방침을 밝힌데 대해 일정한 기준을 제시한 사설이다.
서론에서 ‘정치인과 기업인 사면’ 타당성 여부를 논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서론에서 핵심 쟁점을 제시했을 뿐 찬반이나 제3의 의견을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결론에서는 정‧재계 인사를 포함시키돼 최소화하자는 제3의 견해인 절충식 주장을 밝혔다. 이무렵 일부 사설은 정치인은 않된다거나 아예 정‧재계 인사 모두 배제 주장을 폈다.

본론의 핵심 과제는 주장에 대한 근거 제시와 논증이다. 무슨 사실에 대해 옹호하는 사설을 쓸 경우 사실을 요약한 후 무엇이 옹호의 가치가있는지, 그 근거를 하나씩 제시해야 한다.
그런 후 근거에 대해 상술하거나 예시 제시 또는 추론을 통해 주장을 뒷받침한다. 비판의 경우는 이유와 함께 반론을 끼어넣기도 한다. 대안 제시 형식은 문제가 무엇인지, 또는 원인과 결과, 모순점 등을 밝힌후 대안 제시 즉, 정책 명제가 뒤따른다.

논술문은 사실을 바탕으로 자신의 견해를 조리있게 펼쳐서 상대를 설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주장을 펼치려면 반드시 근거가 따라야한다는 건 대원칙이다. 본론은 바로 근거를 제시하고 증명해가는 공간이다.

논증을 위해서는 원인과 결과, 모순점과 타당성, 비교대조, 비유, 예시, 분석, 분류, 인용, 추론 등이 사안에 따라 선별적으로 적용된다. 그래야 설득력을 극대화 시킬수 있는 것이다. 논술문은 결국, 주제를 서술하는 방식인 설명, 기술(묘사), 서사, 논증이 뒤섞인 종합 글쓰기다.

어떤 유형이든 본론에서 다루는 항목은 다양하다. 우선 타당한 근거가 다채롭게 펼쳐져야 한다. 찬반주장이라면 그이유가 분명하게 드러나야 할 것이다.
대책을 제시하려면 문제의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어떤 문제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결과나 영향을 제시하기도 한다.

이와 함께 비교와 대조를 통해 정책의 장단점을 논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형 논술의 경우 정의, 비교, 분석, 분류. 인용. 비유 등 적절한 설명방식이 혼용된다. 본론은 주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증명해가는 과정이다.

때문에 상술, 합리화, 예시. 논증을 적절하게 분배하고 다양한 서술 방식이 동원된다. 대안제시형일 경우는 본론에서 근거(문제점)와 함께  해결책이 드러나야 한다. 현재 일간지들은 본론난에 실태 요약, 근거와 해결책 제시 형식을 선호한다. 그게 표준화된 형식처럼 굳어졌다.
 
<보기1>
(가)전통시장이 대형 화재의 위험에 노출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밀집한 폐쇄형 점포 구조, 낡은 전기·가스선, 스프링클러 등 소화 설비 부족,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좁은 도로, 상인들의 위험 관리 및 안전의식 미흡 등이 주원인이다. 그런데 이들 대부분은 영세 상인 스스로 해결을 기대하기 어려운 만성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들이다.

화재를 일으킨 배상 책임자도 대개 변제할 돈이 없다. 재난지역으로 선포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을 받아도 피해 복구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그리고 사후 무상 지원 방식은 보험에 의한 위험 관리 또는 피해 경감 노력을 소홀히 하게 해 결과적으로 재난의 사회적 비용이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나)해결책은 보험제도를 활용하는 것인데, 전통시장 점포 중 화재보험에 가입한 비율은 26.6%에 불과하다. 경제적 부담 때문이다. 전통시장은 화재 위험도에 따라 등급이 나뉘고, 등급별 보험료는 연간 수십만원에서 많게는 100만원이 넘는다. 영세 상인에게는 큰 부담이다.

전통시장의 보험 가입률을 높이는 방안은 무엇일까. 풍수해보험이나 농어업재해보험 등 정책성 보험에 보험료가 지원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들은 태풍, 홍수, 지진, 병충해 등에 대비하는 보험인데, 정부가 보험료의 일정 부분을 지원해 준다. 자연재해는 대개 불가항력이어서 발생 통제가 어렵고 일단 발생하면 피해 규모가 크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다)이런 측면에서 보자면, 전통시장의 화재 위험도 유사하다. 전통시장 화재도 주로 폐쇄적 밀접 구조 등 구조적 성격 때문에 발생 통제가 어렵고, 일단 발생하면 피해 규모가 크다. 전통시장 영세 상인은 화재 노출도가 높지만 피해 복구에 쓸 돈도, 보험에 가입할 여력도 부족해 화재가 나면 생존권을 위협받는 전형적인 재난 취약 계층이다.<조선 2017.2.22.>

이 컬럼은 재래시장 화재에 대비 영세상인들의 보험료를 정부가 지원해야한다는 내용을 강조하고있다.
대형 재래시장의 화재는 단순한 개별 화재가 아니라 사회재난으로 격상해서 대처해야한다는 것이다. 그런 차원에서 국가가 영세한 상인들에게 보험료를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해야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보기 단락은 본론 부분이다.<계속>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