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와 울산에서 잇따라 큰 지진이 일어나면서 과연 우리지역 강진은 괜찮을까하는 주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해서 불안해할 필요는 없지만 차분이 대책을 세우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강진의 지진과 관련해 몇가지 눈여겨 봐야할 대목들이 있다. 실록에는 강진에서 일어난 공식적인 지진기록이 17건이나 보인다. 명종(1534~1567) 때 4건의 지진이 있었고 중종(1488~1544)과 세종(1397~ 1450), 현종(1641~1674)때도 각각 3건과 2건이 있었다.

물론 당시에는 과학적인 지진측정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진앙지가 정확히 어디였는지는 알 수 없다. 가장 큰 지진 기록으로 보이는 것은 현종 11년(1670)에 보이는 지진이다. 전라도 강진현등 30여 고을에 지진이 발생했는데 강진이 특히 심했다.

실록은 ‘집이 흔들려 무너질 듯했고 담장이 무너졌으며 지붕의 기와가 떨어졌다. 말과 소가 제대로 서 있지 못했으며 길가는 사람이 다리를 가누지 못하여 놀라고 겨를이 없는 가운데 엎어지지 않는 자가 없었다’고 했다.

기록은 또 ‘이런 참혹한 지진은 근래에 없던 일이었다’고 감사가 보고했다고 했다. 강진이 가장 심했다는 것으로 봐서 진앙지가 강진이였을 가능성이 크고 그 규모는 기와가 떨어졌다는 것으로 봐서 이번에 경주에서 일어난 5.8 안팎의 지진이었을 가능성 역시 높다. 

단종 2년(1454)년 기록에는 강진과 제주, 장흥, 보성등에서 큰 지진이 발생해 담과 가옥이 무너지고 허물어졌으며, 사람이 많이 깔려 죽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런 여러 가지 기록들을 분석해 보면 조선시대때 주기적으로 강진이 진앙지역이었거나 아니면 가까운 이웃이 진앙지로 한 큰 지진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강진사람들이 규모 5.0 이상의 지진을 느낀 경우라 할수 있다.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는 아무리 부산하게 대처해도 부족함이 없다. 우리 강진에도 큰 지진이 있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