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전 우측편의 「선각대사 편광탑비」바로 곁에 있는 무위사 삼층석탑은 「선각대사 편광탑비」와 비슷한 시기에 세워진 고려초기의 석탑으로 최근 새 건물들이 들어서기 전의 작고 소담스럽던 무위사에 참으로 잘 어울리는 탑이었다.

통일신라시대의 석탑 양식을 이어받은 이 탑은 전형적인 2층 기단의 3층 석탑으로 각 부재가 잘 조화되어 균형미를 느낄 수 있는 석탑이다.

  여러 장의 장대석을 결구하여 펼쳐 놓은 지대석 위에 각형 2단의 괴임대와 하층기단 중석이 연결되고 있는데 양면에 우주를 표현하고 중앙에는 탱주 1주 새겨놓았다.

각 면의 우주와 탱주사이에는 비교적 정교하고 세련된 안상이 새겨져 있다. 하대갑석은 전면에 장방형의 판석 1장과 후면에 두 장, 3장의 판석으로 결구되었으며 아랫면은 1단의 고임을 윗면에는 가벼운 경사를 주고 그 위에 역시 1단의 각형 괴임을 돋을새김 하여 중석받침을 표현하였다.

상층기단 중석은 남북면에 2매의 판석을 세우고 우주를 새겼고, 동서면은 2매의 벽판석으로 결구시켜 놓았다. 상대갑석은 아랫면에 얇은 1단의 갑석부연을 표현하고 윗면에도 역시 1단의 얇은 탑신 괴임을 조각하였다.

탑신부는 1, 2, 3층 모두 몸돌(탑신)과 지붕돌(옥개석)이 각 1매씩으로 몸돌에는 양면에 우주가 표현되고 2층, 3층으로 가면서 몸돌 높이와 너비를 줄여 체감을 보였다.

지붕돌은 윗면의 낙수면이 경사가 크지 않고 얇은 편이고, 처마는 세월의 무게를 견디지 못한 듯 각 층마다 많이 깨어지고 마모되었으나 중앙에서 직선을 이루다가 우동(隅棟)에 이르러서는 살짝 들려 올려져 가벼운 반전을 보인다. 처마의 아랫면은 수평이고 각층마다 4단으로 매우 얇게 흉내만 낸 듯이 층급받침을 표현해 놓았다.

상륜부는 노반과 복발, 보륜, 보개 등이 남아 있긴 하나 완전한 모습은 아닌 것 같다. 앙화나 찰주 등은 흔적을 찾기 어렵고, 보륜도 겨우 2개 정도만 보이는데 그나마 마치 막돌을 얹어 놓은 듯 원형도 아니고 사각형도 아니다.

각 층의 지붕돌과 상륜부, 상대 갑석 일부가 파손되긴 하였지만 첫 느낌으로 보아도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양식을 이어받아 안정감을 주는 무위사 삼층석탑은 크기도 약 4m 정도로 그다지 크지 않고, 조각 수법도 화려하지도 뛰어나지도 않아 예술적 가치가 그다지 크지는 않지만 원형은 잘 보존되어 있다.

최근 무위사에 불사가 많이 이루어지면서 이 탑이 조금은 왜소해 보인다.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6호로 지정되어 있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