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투표로 당대표 경선에서 큰 혜택을 본 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는 이번 국회의원 후보 경선과 자치단체장 후보 경선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후보들에게 모바일 투표와 현장투표 선거인단을 모집해서 제출하게 하고 이 명단을 가지고 전화를 걸어 지지후보를 선택하게 하고, 현장 투표 역시 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한명숙 대표에게 축배였는지 모르지만 많은 후보들에게 독배를 마시게 한 것이나 다름없었다는 것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결정적으로 이 방법은 주민들의 여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

주민들 중에는 뭐가 모바일 투표인지 모르는 사람도 있고, 어떻게 그것을 신청하는 것인지 알려고 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현장투표라니 또 무엇인가. 일반 유권자라면 4월 11일에 한번 투표장에 가서 투표하면 될일이다. 당원들이야 당의 방침에 따라 두 번이든 다섯 번이든 해야 할지 모르지만 일반 주민들은 두 번 투표를 해야 할 이유가 없는 사람들이다.
 
누구누구를 당선시키기 위해서는 현장투표를 해야하고, 어찌어찌해서 투표인단이 되어야 한다는 주변의 강권에 못이겨 그렇게 한사람들이 많다.

어디 그뿐인가. 현장투표가 두 번이 아니라 세번이다. 군수 후보경선 현장투표에 이어 국회의원 후보 경선 현장투표가 한번 더 남아있다. 4.11 선거일까지 하면 도합 세 번을 투표장에 가야하는 셈이다. 혹여 주민들에게 투표 거부반응이라도 나오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이 제도는 한마디로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유권자와 후보 누구에게도 만족스럽지 못한 제도였다. 유일한 장점으로 거론되는 젊은층의 적극적인 투표 유인은 단편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유권자들을 만나 자신의 비젼을 설명해야 할 후보들이, 후보를 위해 여러사람을 만나야 할 선거운동원들이 사무실에 앉아 전화기를 붙잡고 선거인단 모집에 열을 올렸다. 한마디로 동원선거였다.

무엇보다 모바일투표와 현장투표를 통한 공천자 결정은 정당으로서 책임을 회피한 것이다. 이런식의 공천자 결정은 정당이 도대체 왜 존재하는가 묻게한다. 당원들을 통해 공천자를 결정하든, 중앙당이 공천자를 결정하든 당이 중심이되어 공천자를 결정해야 할 일이다. 그 책임도 당에게 있는 것이 당연하다.

그런데 한명숙 대표의 민주통합당은 공천권을 시민에게 준다며 모바일투표를 농촌까지 확대시켰다. 나중에 주민들은 민주통합당이 공천한 사람들이 나쁜 정치를 하면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하는가. 민주통합당 지도부는 ‘그때 당신들이 수천명이 투표해서 후보를 만들어 놓고 왜 우리한테 그런말을 하느냐’고 반문할지 모른다.

또 이번과 같은 공천자 결정 방법은 결정적으로 돈없고 조직력이 없는 사람은 정치를 하지말라는 조치나 다름없다. 금권을 가지고 보다 정확한 타킷을 향해 쏘아 댈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만들어 주었다. 권력과 권한을 가지고 조직에 접근하는 사람들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선거판을 만들어 주었다. 

민주통합당 지도부가 모바일 투표와 현장투표를 강행하는 목적은 어렵지 않게 파악된다. 민주통합당에 조금이라도 우호적인 유권자들, 특히 호남지역 유권자들을 굴비 엮듯이 엮어서 낙오자 없이 대선까지 끌고 가겠다는 심보다.

그 과정에서 돈선거를 하든 말든, 불법적으로 사람들을 동원하든 말든 개의치 않겠으니 후보자들이 어떻게 해서든 흥행을 만들어 민주통합당의 경선을 빛내라는 것이다. 정당의 목적이 아무리 정권획득이라고 하지만 역사를 거꾸로 돌리는 이런 일을 제1야당이 아무 부끄러움없이 하고 있다. 참 안타까운 정치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