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명/상하수도사업소 상수도팀장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일본정부가 반도체 핵심소재에 대한 한국수출을 규제하고 부터다. 두 나라 간의 역사적, 정치적 질곡만큼 국민적 감정은 공분이 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반도체 생산의 필수 소재인 불화수소에 이목이 쏠리면서 공급처를 다변화하고 국산화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진다.

국가 간의 상호의존성을 파괴한 일본의 조치는 분명 자해행위지만 우리에게 익숙한 경제관념과 편의주의가 초래한 위기가 아닌 지 되돌아보게 된다.

현상을 내다보고 위기를 대비하는 일이 국가공동체의 역할로만 여길 수 없게 되었다. 미국과 무역전쟁을 치르고 있는 중국이 희토류의 무기화를 선언한 시대가 아닌가.

가끔, 세계적 화두인 인구증가와 온난화가 초래할 위기를 우리는 제대로 대비하고 있는지 의구심을 가질 때가 있다.
 
바로 탐진강 원수의 수질에 의혹을 제기하고 광역상수도를 공급해야 한다는 주장을 마주하는 순간이다. 아시다시피 인구 증가와 온난화의 가속화는 수자원의 편중과 물 부족으로 국가 간 분쟁을 초래하고 있다.
 
중동과 아프리카를 비롯한 세계인구의 절반가량이 주변국의 수자원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물 형편이 녹록치 않다.

연평균강수량(1,245mm)은 세계평균(880mm)보다 많지만 인구밀도로 보면 1인당 연평균 강수량(2,591㎥)은 세계평균(19,635㎥)의 13%수준에 그친다.

더욱이 연강수량의 대부분이 여름철에 집중되고 국지성 호우가 잦아 안정적인 수자원확보는 더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15년 극심한 가뭄으로 충남 보령댐이 고갈돼 인근 8개 시·군 지역의 급수에 차질을 빚고 수십 만 명의 주민이 절수운동과 자체 수원확보를 위해 상당기간 사투를 벌여야 했다.
 
보령댐 한 곳의 수원으로 여러 지역의 생활용수를 감당케 한 것은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을 대비하지 못한 인재에 가까웠다. 이후, 정부는 수자원을 다변화하고 분산배치를 통해 유사시 자급력을 강화하기로 한다.

즉, 지방상수도와 광역상수도의 역할을 병행하고 기능을 상호 보완키로 한 것이다. 경제논리에 밀려 지방의 정수장을 폐쇄하거나 행위제한 논란에 눌려 상수원보호구역의 해제하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 한다.

사실, 탐진강에서 취수하는 원수의 수질등급이 BOD등 4개 항목에서 1등급, 대장균수도 여름철에만 2등급으로 떨어질 뿐 장흥댐 원수등급에 조금도 뒤지지 않는다.

강바닥의 자갈과 모래층을 통과한 하천지하수를 취수하기 때문만은 아니지만 정수의 수질도 매우 우수하다.

아직까지 유럽국가의 두 배에 달하는 우리의 물 소비 습관은 좀처럼 바뀌지 않고 있다. 또, 농업용수 등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과 관리부실로 오염이 확산되고 상수원 주변에 쓰레기를 투기하는 행위가 줄지 않고 있다. 이대로라면 수자원의 무기화는 현실이 되고 만다.

자원을 무기화하는 시대, 우리가 경계해야 할 것은 자급력을 도외시한 채 쉽고 편한 것만 좇는 편의주의와 편견일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