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강진만간척사업소가 신설되며 간척사업 본격화됐다

지난 1991년 8월 도암 만덕지구 간척지 중간지점에서 최종 물막이공사를 진행하는 기념식장의 모습이다.<사진제공=윤순학>
1988년 마량 영동제 산불 사건이 일어난 당시 군수에 얽힌 재미있는 일이 있었다. 화재가 발생했던 당시 부임했던 강진군수는 재임했던 곳마다 대형 산불이 발생했다고 해서 별명이 ‘불군수’라는 닉네임이 붙여질 정도였다.

강진군으로 부임하자마자 산불을 막기 위해 산불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고 신경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마량 영동제를 시작으로 크고 작은 산불이 이어져 안타까움을 더했다.  화재와 관련이 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당시 군수는 부임후 7개월만에 다른 곳으로 떠나게 됐다.

1988년 마량면 대형 산불이후 1995년 6월 27일 민선 1기 전국동시지방선거 일에도 산불이 발생했다. 이때 군동면 삼신에서 불이 시작돼 칠량면 모재골과 군동면 덕천마을 뒷산에 이르기까지 이틀동안 산불이 발생해 많은 피해를 남기기도 했다. 또 1997년 봄에 도암면 봉황리 뒷산에서도 산불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처럼 대부분 봄철 산불은 산과 인접한 논밭에서 불을 지르다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요즘에도 가을부터 봄철까지 발생하는 산불중 상당수가 논밭이나 쓰레기 등을 소각하다가 불씨가 옮겨붙어 대형 산불로 번지는 경우가 많다. 이를 막기 위해서라도 산불요인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계도가 필요하다.

필자도 공직생활을 하면서 대형산불을 여러번 겪으면서 강진군 11개 읍면에 산불예방과 관련된 공무원과 산불감시요원들의 노력에 감사하는 마음이 든다.

강진의 아름다는 산과 바다 등 자연환경과 푸른 숲을 미래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해서라도 산불예방을 위해 우리 모두가 힘써야 한다.

1980년대 후반에 정부는 식량 확보를 위해 대단위 간척사업이 활발하게 시행했다. 강진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때 도로망 확충 등 국토개발 사업과 주거지역의 확대를 위한 도시개발 사업과 공업용지 조성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됐다.
 
이로 인해 농경지가 급속히 줄어들게 되면서 식량의 해외의존도가 50% 수준까지 떨어지면서 식량안보 위기론이 대두됐다.
 
당시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1979년 220만7천㏊이었던 것이 1986년에는 214만1천㏊로 6만6천㏊가 감소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현재 도암 만덕지구 방조제로 사진 우측이 강진만 바다의 모습이다. 방조제 왼쪽편은 만덕호와 간척지가 있다.
또 1980년대 초 냉해 피해로 인해 쌀생산량이 급감하면서 식량안보 문제는 더욱 부추겼다. 이때 노태우 대통령이 공약사업의 일환으로 간척사업을 통해 농경지 확보를 추진했다.

간척지를 늘려 농경지를 늘리고 이를 토대로 식량공급과 토지이용률 제고를 꾀했던 것이었다. 여기에 추가로 농지의 타목적 전용을 엄격히 규제하고 유휴지의 활용을 강화하기도 했다.

1989년 10월 중순경 당시 문덕형 강진군수가 인사업무 실무자였던 나를 갑자기 호출했다. 당시 문 군수는 나에게 강진만간척사업소 직제를 전남도에 승인 신청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나는 충남 보령군과 고흥군의 사례를 살펴보고 간척사업소기구 설치를 위한 서류를 급히 만들었고 군수가 지시한지 몇시간도 안돼서 군수 결재를 받고 공문을 들고 직접 야근중인 전남도청 인사담당에게 접수를 했다.

당시 기구를 신설하거나 정원을 증원할때는 내무부의 승인을 얻어야 했지만 쉽게 승인을 해주지 않았다. 하지만 간척사업은 농림수산부와 내무부가 정부차원에서 이미 협의가 된 사안이었기 때문에 국가정책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강진만간척사업소 기구는 빠르게 승인처리 됐다.

이때 새만금간척사업을 비롯한 장흥군 삼산지구, 완도군 약산지구, 해남군 고천암 등 전국적으로 간척사업이 활발하게 펼쳐졌다. 이때부터 강진도 간척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던 때였다. <정리=오기안 기자>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