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국적으로 생필품 가격이 오르면서 농산물이 물가상승의 주범으로 내몰리고 있어 안타깝다. 최근 상당수 언론은 자극적인 제목으로 농산물 가격 오름세가 물가상승을 이끌고 있다는 식의 보도 태도를 취하고 있다.

농축산물은 공급량이 조금만 부족해도 가격이 크게 오르고, 조금만 많아도 큰 폭으로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전년 같은 시기와 비교해 가격 오름세를 판단하면 오류에 빠질 수 있다. 전년에 가격이 아주 낮았다면 조금만 올라도 상승률은 높아지기 때문이다.

최근 채소 등 일부 농산물값이 올랐지만 소비자 생활에 타격을 줄 정도는 아니라는 게 대체적인 지적이다. 소비자 물가에서 농축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서다. 물가 가중치의 총합인 1000에서 농축산물은 66에 불과하다. 이는 가계 소비금액이 1000원이라면 농축산물 비중은 66원이라는 얘기다.

여기에 특정 농산물값이 오르면 소비자는 대체소비를 하거나 해당 품목의 소비를 줄이는 방식으로 합리적인 소비를 하게 마련이다. 더구나 밥상차림비는 특정 농산물이 아닌 여러 품목을 합해 산출한다. 쌀값도 마찬가지다. 산지 쌀값이 이달 들어 80㎏ 기준 19만원대로 올라 2017년과 비교하면 대폭 상승한 것처럼 보이지만, 지난해 쌀값이 20년 전 수준이었던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 농축산물 가격은 농가소득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따라서 출하량 감소와 생산비 상승 등 농민들의 어려움에 관심이 더 필요하다. 가격이 올랐더라도 기상이변을 극복하기 위해 생산비가 늘어 농가소득에는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차제에 물가가 오르면 농산물 때문이라는 오해가 없도록 제도개선도 이뤄져야 한다. 농축산물 가격은 기준시점을 ‘전년’보다는 최근 5년치 평균가격인 ‘평년치’로 사용하는 게 합리적이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