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의 위험성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나 정작 농촌지역에는 측정을 위한 기초장치 조차 없는 곳이 부지기수라고 한다. 강진도 미세먼지 측정기가 없다.

미세먼지 측정장치는 수도권에 편중돼 있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기설치된 측정망 264개 중 42.8%가 설치돼 있다.

전남 지역의 경우 22개 시·군 가운데 목포(2기)·여수(5기)·순천(4기)·광양(4기)·영암(1기) 등 5개 지역에만 미세먼지 측정 장치가 설치돼 있고, 나머지 17개 시·군에는 측정 장치가 없다. 미세먼지 발생 빈도와 농도가 높은 수도권에 측정장치가 많이 설치된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주된 미세먼지 발생지로 지목되고 있는 중국과 인접해 있고, 화력발전소가 밀집한 충남지역에 측정망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것은 선뜻 납득하기 어렵다.

미세먼지 측정 장비가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해당지역의 미세먼지 측정을 위해 인접 기초단체의 자료를 참고해야 하지만 장비가 없는 농촌지역이 대다수여서 미세먼지 농도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고 한다.

1급 발암물질인 미세먼지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농촌지역 주민들을 위한 대책은 사실상 없는 것이 현실이다. 농촌의 고령인구 비율은 전체 인구대비 40%를 넘고 있다. 장시간 실외노동을 하는 고령의 주민들이 미세먼지에 지속적으로 노출됐을 경우 건강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국내 미세먼지 주범으로 중국의 대기오염 물질 유입과 석탄화력발전소 등이 지목되고 있지만 얼마나 유입되고, 어디서 얼마나 발생하는지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다.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의 특성상 농촌도 피해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

농촌에 적절한 측정망을 갖춰 미세먼지에 대한 주민들의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미세먼지 이동 경로의 파악 등 과학적인 규명작업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강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